겨울에 들어서고 12월이면 동지를 맞이하게 됩니다. 동지는 글자 그대로 겨울에 이르렀다는 뜻으로 일 년 중 밤이 제일 길고 낮이 제일 짧은 절기입니다. 동지를 기점으로 점차 낮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풍속적으로 그리고 종교적으로 의미 있는 날로 여겨졌습니다.
동지의 시기
동지는 24 절기 중 스물두 번째 절기입니다. 24 절기란 태양력에 의해 자연의 변화를 24 등분해서 표현한 것입니다. 음력으로는 11월 중기(24 절기 가운데 양력으로 달마다 중순부터 드는 절기)이며, 양력으로는 12월 22일 또는 23일을 가리킵니다. 2023년은 12월 22일이 동지입니다. 대설의 다음이며 소한 앞에 있습니다. 동지가 드는 시기에 따라 부르는 말도 다릅니다. 음역 11월 초순에 들면 '애동지', 중순에 들면 '중동지', 그믐께 들면 '노동지'라고 불립니다.
동지는 일 년 중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길어 음(陰)이 극에 이르지만, 이 날이 지나면 하루 낮 길이가 조금씩 길어져서 남회귀선(동지선)이 북회귀선(하지선)에 가가워지게 됩니다. 이 날을 계기로 하지가 될 때까지는 낮이 다시 길어지기 때문에 양(陽)의 기운이 싹트는, 사실상 해새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로 여겨졌습니다.
그래서 옛사람들은 태양이 기운을 회복하는 것이라고 생각해 동지를 24 절기 중 가장 큰 명절로 즐겼습니다. 전통사회에서는 흔히 동지를 작은 설로 여기고 설 다음 가는 경사스러운 날로 생각했습니다. 옛말에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 팥죽을 먹어야 한 살 더 먹는다'라는 말이 전해지는 것은 바로 이 때문입니다.
동지 팥죽의 풍습
우리나라에는 동지에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팥죽은 찹쌀로 경단을 빚은 후 팥을 고아 만들 죽에 넣고 끓인 것입니다. 이때 경단은 새알만한 크기로 만들기 때문에 '새알심'이라고 부릅니다. 떡국이 설날 음식이라고 하면 팥죽은 동지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예로부터 질병이나 귀신을 쫓는 음식으로 알려져 왔습니다.
팥죽에 대한 기록은 고려시대 문인 이색의 목은집에 나오며, 조선시대의 음식 관련 문헌에도 나오는데, 동지음식으로 '적두죽'이라 하여 음기를 쫓는 축귀역할을 한다고 믿었습니다. 동짓날에는 팥죽을 먹는 것이 보편화되어 '동지팥죽'이랑 이름을 가지게 되었는데, 팥죽에 있는 새알심을 나이 숫자대로 먹곤 했다고 합니다. 새알심은 찹쌀가루를 이용해 만든 떡의 일종입니다. 모양이 새알과 유사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팥죽을 먹는 이유
동짓날은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기 때문에 음기다 높다고 여겨집니다. 팥의 붉은색이 음기와 액운을 물리친다고 믿었기 때문에 붉은 팥죽을 먹었습니다. 도한 동짓날에 팥죽을 먹으면 나쁜 귀신을 쫓고 무병장수를 발랄 수 있다고 믿었습니다.
팥이 나쁜 귀신을 쫓는다고 믿는 이유는 과거 중국 <형초세시기>(형조지방의 세시 풍속을 담은 책) 기록된 내용과 연관이 있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중국의 강을 다스리는 신 공공씨(共工氏)의 망나니 아들이 동짓날 죽은 후 전염병을 퍼뜨리는 역귀로 변하였습니다. 이 아들이 평상시 팥을 싫어해, 귀신으로 변한 이 아들을 쫓기 위해 동짓날 팥죽을 먹게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맺음
동짓날에 팥죽을 먹는 풍속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식품 영양에 대한 우리 조상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데, 한의학적으로 팥은 겨울철 음약의 조화를 꾀하고 심장의 기운을 돋우는데 좋은 식품이기 때문입니다. 추위를 이겨내고 면역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영양가 높은 팥죽이 최척의 음식이었습니다.
동지는 낮이 가장 짧고 밤이 가장 긴 절기입니다. 이는 새로운 날부터는 낮이 길어지는 양의 기운이 퍼지는 것을 알리는 새로운 시작의 전조입니다. 다가오는 동지를 맞이하면서 새해의 맞이하는 복된 계획을 세우고 건강을 더욱 챙기는 절기로 삼으시기 바랍니다.
'생활의 지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활용품인것 같지만 아닌 쓰레기인 물건들 (0) | 2023.06.25 |
---|---|
옷에 묻은 얼룩에 따른 쉽게 지워주는 물품 (0) | 2023.06.20 |
댓글